金剛般若波羅蜜經제1강 금강경의 이해 소의경전금강경은 소의경전(所依經典)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소의경전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생활의 지침서, 수행의 지침서, 인생의 지침서가 되는 의미로서의 소의경전입니다. 금강경에 의지해서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고 수행을 하고 생활해 나간다 하는 뜻으로 소의경전이라고 합니다. 어떤 사람이 나무를 팔러 갔다가 이 금강경 한구절을 듣고 나무를 내려놓고 다이아몬드를 한 짐 지고 돌아온 사례가 있습니다. 뒤에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만, 여러분도 금강경을 공부하면서 몇 푼어치 안 되는 인생의 나무를 내려놓고, 대신에 다이아몬드를 한 짐 짊어지고 돌아가는 기회가 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금강경의 위치첫째는 전통적인 관점 다시말해서 교상판석(敎相判釋)이라고 하는..
제1장 법회가 열린 인연 (第一章 法會因由分 법회인유분) 如是我聞. 一時 佛 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天二百五十人 俱. 여시아문 일시 불 재사위국기수급고독원 여대비구중 천이백오십인 구.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기수급고독원에서 큰 비구 천이백오십인과 함께 계시었다. 爾時 世尊 食時 着依持鉢 入舍衛大城 乞食 於其城中 次第乞已 還至本處 飯食訖 收衣鉢 洗足已 敷座而坐. 이시 세존 식시 착의지발 입사위대성 걸식 어기성중 차제걸이 환지본처 반사흘 수의발 세족이 부좌이좌. 그때 세존께서는 진지 드실 때가 되었으므로 가사를 입으시고 바루를 가지시고 사위성에 들어가 차례로 밥을 비시었다. 그리고 본 곳으로 돌아오시어 공양을 마치신 뒤 가사와 바루를 거두시고 발을 씻으신 다음 자리를 펴고 ..
「나무 칠구지 불모 대준제보살 「나무 칠구지 불모 대준제보살(南無七俱脂佛母大准堤普薩)」(3번) 여기서 〈나무〉는 '귀의한다'는 뜻이며,〈칠구지〉의〈구지〉는 '억'이란 뜻이니 그 뜻을 새겨 보면, '칠억 부처님을 키워낸 부처님의 어머니인 대준제보살께 귀의합니다'라고 풀이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법계(法界),즉 우리가 사는 세상을 깨끗하게 하는 진언의 내용를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 「옴 남」(3번) 〈옴 남〉에서〈옴〉은 앞에서 여러 번 나왔으므로 여기서는 그 뜻풀이를 생략하기로 하고, 〈남〉은〈람〉이라고 해야 하는데 '화대(火大)의 종자'란 뜻입니다. 화대의 종자란 바로 불을 일으키는 근본 씨앗이란 뜻인데, 그것은 지혜의 불인 것입니다. 그 불의 종자가 탐.진.치 삼독으로 인해서 생..
사방찬(四方讚) 일쇄동방결도량 (一灑東方潔道場) 이쇄남방득청량 (二灑南方得靑凉) 삼쇄서방구정토 (三灑西方俱淨土) 사쇄북방영안강 (四灑北方永安康) 〈사방찬〉은 동서남북의 내 방향을 찬탄하는 구절입니다. 즉〈다라니〉로서 관세음보살의 위력을 우주에 두루 충만해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첫째로〈일쇄동방결도량〉을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동쪽을 향해 물을 뿌리면 도량이 맑아진다'가 됩니다. 여기서〈일쇄〉의 뜻은 '물을 뿌린다'는 뜻이지만 궁극적으로는 '번뇌를 씻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신묘장구대다라니〉를 읽음으로써 또는 넓은 의미로 부처님의 위대한 가르침을 통해 부정적인 생각, 삶에 있어서 어두운 부분들을 전부 씻어낸다는 뜻입니다. 불교에 있어서 번뇌는 결국 살아가면서 겪는 온갖 불행을 말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 내용 살펴보기 앞에서 관세음보살의 열 가지 이름과 서원을 살펴 보았습니다. 그럼 지금부터는 〈다라니〉의 가장 핵심이되는 〈신묘장구대다라니〉의 내용을 설명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는 관세움보살의 위신력, 지혜, 자비, 과거의 행적, 관세음보살의 여러가지 모습 등이 『천수경』심장부에 해당됩니다. 즉 『천수경』의 핵심이며 안목을나타낸 부분이 〈신묘장구대다라니〉인 것입니다. 말하자면 관세음보살의 온갖 숨겨진 비밀과 내력을 하나하나 들추어내는 것입니다. 결국 『천수경』 이란 경전은〈다라니〉로 집약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라니〉의 내용을 잘 이해한다면 관세음보살이 과연 어떤분인가를 가장 잘 알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다라니〉속에는 관세음보살에 대한 몯는 것들이 담겨..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千手千眼 觀自在普薩 廣大圓萬 無碍大悲心 大陀羅尼 계청(啓請)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에 '경' 자를 붙인 것이 『천수경』의 구체적인 본래 이름입니다. 여기서부터 경의 본격적인 내용이 시작됩니다. 여기서〈광대원만〉이란 『천수경』은 관세음보살의 자비와 지혜가 담겨 있어서 넓고 크며 원만하여 막히는 데가 없이 충만하다는 것입니다. 인간적인 정분(情分)에 얽매이면 대가를 바라게 되고 자기 도취에 빠지거나 분별심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관세음보살의 자비는 이런 인간적인 사랑이나 정을 뛰어 넘어서 자비로 승화되었기 때문에 아무 걸림이 없는〈무애대비심〉인 것입니다. 흔히 우리는 부처님이나 관세음보살 등 불보살님을 항상 높은 곳에 올려놓..
오방내외 안위제신진언(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오방〉은 동서남북 사방과 중앙을 합하여〈오방〉이라고 합니다. 불교에서는 〈오방〉이외에도 팔방(八方), 시방(十方)등으로 공간 개념을 많이 표현하고 있습니다.〈내외〉는 '안팎'이란 뜻이고 〈안위제신〉은 '모든 신들을 편안하게 위로한다'는 뜻입니다. 불교에서는 모든 생물과 나아가서 무생물까지도 신이 있다고 봅니다. 나무에는 목신이 있고, 길에는 길을 지키는 신이 있고, 북방에는 북방을 맡은 신이 있다는 등 모든 곳에 신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어떤 사물이라도 섣불리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신성시 여기는 것입니다. 지혜의 눈으로 보면 이 우주 안에는 우리의 육안으로 미치지 않는 엄청난 영감의 세계, 영혼의 세계, 마음의 세계가 얼마든지 펼쳐져 있습니다. 그런 세..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팔만대장경 중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경전이 『천수경』이란 것은 앞에서 살펴보았습니다. 그런데 『천수경』의 첫마디가 이란 것은 우리에게 엄청난 교훈을 던져 주고 있습니다. 의 글자 그대로의 뜻을 풀이하면 '입으로 지은 업을 깨끗이 하는 참된 말'이란 뜻입니다.불교인들은 업에 대해서 누구나 한 번쯤 들어 보거나 생각해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불교에서는 자신이 지은 업은 여러 수십억 년이 지난다 해도 없어지지 않아서 인연을 만나는 어느 순간에 자기가 지은 업에 대한 과보는 반드시 받는다고 합니다. 그 때문에 불교인들은 업을 잘 지어야 합니다. 일생을 통해 부처님과 인연을 맺는 일은 참으로 훌륭한 업을 짓는 일입니다. 부처님은 이 세상에서 스승 중의 스승이시며, 가장 훌륭한 깨달음을 성..
천수경 독송 우리말 천수경 독송 천수경 우리말 독송 (관세음보살)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구업을 청정케 하는 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3편)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오방내외 신중을 편안하게 모시는 진언) 나무 사만다 mybuddha.tistory.com ● 천수경 책머리 - 무비스님 『천수경』은 많고 많은 경전 가운데서 우리와 가장 친숙한 경전이라고 단언하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불교를 처음 접하는 초심자는 물론이고 오랜 연륜이 쌓인 사람이라 하더라도 불교신자라면 누구나 불교공부를 하는 동안은 내내 독송하며 만나는 경전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천수경』은 우리와 가장 가까운 어머님 같은 관세음보살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말하자면『천수경』은 관세음보살의 대자대비한 마..
부처님께서 지장보살에게 인간게, 천상계의 모든 중생들을 잘 보살피라고 부탁하다 촉루인천품은 부처님께서 지장보살에게 인간세계의 사람과 천상세계에 있는 이들을 잘 보살피라고 부탁하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부처님께서는 한 터럭만큼이라도 불심을 내는 이는 반드시 보살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십니다. 이 대목의 줄거리를 살펴보면 부처님이 지장보살을 어루만지면서 지장보살의 신력, 자비, 지혜, 변재를 찬탄하십니다. 이어서 중생들의 약점을 지적합니다. 중생들이 특별히 나쁜 마음을 먹어서가 아니라, 아무리 착한 마음을 냈더라도 나쁜 인연을 만나면 그것에 흔들리기 때문에, 중생의 어리석음에 실망하지 말고 무변신을 나투어서 교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 순간이라도 악도에 떨어지게 해서는 안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