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신라 화엄교학의 고승 의상(義湘, 625∼702)이 광대무변한 화엄사상의 요지를 210자 게송으로 압축한 도인(圖印)이다. 흔히 "법계도" 또는 "해인도(海印圖)"라고 하며, 게송은 "법성게"라 한다. 법성게는 7언 30구 210자의 시문이고, 법계도는 이 시문을 54각(角)의 도인에 합쳐서 만든 인장이다. "가지가지의 꽃으로 장엄한 일승(一乘)의 진리 세계의 모습"이라는 뜻으로, 668년 7월에 완성했다. 스승 지엄(智儼)은 "자신이 그린 72인(印)보다 의상의 1인이 더 훌륭하다"고 칭찬하며 인가했다고 한다. 의상은 인이란 형식의 법계도를 지은 까닭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부처님께서 가르치신 그물과 같은 교법이 포괄하는 삼종세간(三種世間)을 해인삼매를 쫓아 드러내어, 이름에만 집착하는 무지한..
법성게 (法性偈) 법성원융무이상 (法性圓融無二相) : 법의 성품 원만하여 두모양이 없사올새 제법부동본래적 (諸法不動本來寂) : 모든 물건 동작없어 본래부터 고요하니 무명무상절일체 (無名無相絶一切) : 이름 없고 형상없어 온갖차별 끊겼으니 증지소지비여경 (證智所知非餘境) : 견성하면 알 수 있고 다른이론 알수없네. 진성심심극미묘 (眞性甚深極微妙) : 참된 성품 깊고깊어 가장미묘 하온지라. 불수자성수연성 (不守自性隨緣成) : 제 성품을 안지키고 인연따라 나투나니 일중일체다중일 (一中一切多中一) : 하나 속에 여럿있고 여럿속에 하나이며, 일즉일체다즉일 (一卽一切多卽一) : 하나가 곧 전체이며 전체가 곧 하나이다. 일미진중함시방 (一微塵中含十方) : 가는 티끌 하나속에 시방세계 들어있고 일체진중역여시 (一切塵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