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경전/천수경 해설

대승경전/천수경 해설

천수경 해설 - 제7장 깨달음의 마음에서 물러서지 않기를 원하옵니다

「나무 칠구지 불모 대준제보살 「나무 칠구지 불모 대준제보살(南無七俱脂佛母大准堤普薩)」(3번) 여기서 〈나무〉는 '귀의한다'는 뜻이며,〈칠구지〉의〈구지〉는 '억'이란 뜻이니 그 뜻을 새겨 보면, '칠억 부처님을 키워낸 부처님의 어머니인 대준제보살께 귀의합니다'라고 풀이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법계(法界),즉 우리가 사는 세상을 깨끗하게 하는 진언의 내용를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정법계진언(淨法界眞言) 「옴 남」(3번) 〈옴 남〉에서〈옴〉은 앞에서 여러 번 나왔으므로 여기서는 그 뜻풀이를 생략하기로 하고, 〈남〉은〈람〉이라고 해야 하는데 '화대(火大)의 종자'란 뜻입니다. 화대의 종자란 바로 불을 일으키는 근본 씨앗이란 뜻인데, 그것은 지혜의 불인 것입니다. 그 불의 종자가 탐.진.치 삼독으로 인해서 생..

대승경전/천수경 해설

천수경 해설 - 제6장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서

사방찬(四方讚) 일쇄동방결도량 (一灑東方潔道場) 이쇄남방득청량 (二灑南方得靑凉) 삼쇄서방구정토 (三灑西方俱淨土) 사쇄북방영안강 (四灑北方永安康) 〈사방찬〉은 동서남북의 내 방향을 찬탄하는 구절입니다. 즉〈다라니〉로서 관세음보살의 위력을 우주에 두루 충만해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첫째로〈일쇄동방결도량〉을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동쪽을 향해 물을 뿌리면 도량이 맑아진다'가 됩니다. 여기서〈일쇄〉의 뜻은 '물을 뿌린다'는 뜻이지만 궁극적으로는 '번뇌를 씻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신묘장구대다라니〉를 읽음으로써 또는 넓은 의미로 부처님의 위대한 가르침을 통해 부정적인 생각, 삶에 있어서 어두운 부분들을 전부 씻어낸다는 뜻입니다. 불교에 있어서 번뇌는 결국 살아가면서 겪는 온갖 불행을 말합니다...

대승경전/천수경 해설

천수경 해설 - 제5장 위신 나투시는 성스러운 분이시여

신묘장구대다라니 내용 살펴보기 앞에서 관세음보살의 열 가지 이름과 서원을 살펴 보았습니다. 그럼 지금부터는 〈다라니〉의 가장 핵심이되는 〈신묘장구대다라니〉의 내용을 설명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는 관세움보살의 위신력, 지혜, 자비, 과거의 행적, 관세음보살의 여러가지 모습 등이 『천수경』심장부에 해당됩니다. 즉 『천수경』의 핵심이며 안목을나타낸 부분이 〈신묘장구대다라니〉인 것입니다. 말하자면 관세음보살의 온갖 숨겨진 비밀과 내력을 하나하나 들추어내는 것입니다. 결국 『천수경』 이란 경전은〈다라니〉로 집약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라니〉의 내용을 잘 이해한다면 관세음보살이 과연 어떤분인가를 가장 잘 알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다라니〉속에는 관세음보살에 대한 몯는 것들이 담겨..

대승경전/천수경 해설

천수경 해설 - 제4장 지혜의 배를 타고 행복의 나라로

열 가지 서원 그럼 지금부터 대자대비한 관세음보살께 귀의하면서 열 가지 서원을 말하는 내용을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지일체법 (南無大悲觀世音 願我速知一切法)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득지혜안 (南無大悲觀世音 願我早得智慧眼)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도일체중 (南無大悲觀世音 願我速度一切衆)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득선방편 (南無大悲觀世音 願我早得善方便)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승반야선 (南無大悲觀世音 願我速乘般若船)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득월고해 (南無大悲觀世音 願我早得越苦海)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득계정도 (南無大悲觀世音 願我速得戒足道)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등원적산 (南無大悲觀世音 願我早登圓寂山)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회무위사 (南無大悲觀世音 願我速會無爲舍)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동법성신 (南無大悲觀..

대승경전/천수경 해설

천수경 해설 - 제3장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廣大圓萬 無碍大悲心 大陀羅尼)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 千手千眼 觀自在普薩 廣大圓萬 無碍大悲心 大陀羅尼 계청(啓請) 〈천수천안 관자재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에 '경' 자를 붙인 것이 『천수경』의 구체적인 본래 이름입니다. 여기서부터 경의 본격적인 내용이 시작됩니다. 여기서〈광대원만〉이란 『천수경』은 관세음보살의 자비와 지혜가 담겨 있어서 넓고 크며 원만하여 막히는 데가 없이 충만하다는 것입니다. 인간적인 정분(情分)에 얽매이면 대가를 바라게 되고 자기 도취에 빠지거나 분별심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관세음보살의 자비는 이런 인간적인 사랑이나 정을 뛰어 넘어서 자비로 승화되었기 때문에 아무 걸림이 없는〈무애대비심〉인 것입니다. 흔히 우리는 부처님이나 관세음보살 등 불보살님을 항상 높은 곳에 올려놓..

대승경전/천수경 해설

천수경 해설 - 제2장 오방내외 안위제신진언(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오방내외 안위제신진언(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오방〉은 동서남북 사방과 중앙을 합하여〈오방〉이라고 합니다. 불교에서는 〈오방〉이외에도 팔방(八方), 시방(十方)등으로 공간 개념을 많이 표현하고 있습니다.〈내외〉는 '안팎'이란 뜻이고 〈안위제신〉은 '모든 신들을 편안하게 위로한다'는 뜻입니다. 불교에서는 모든 생물과 나아가서 무생물까지도 신이 있다고 봅니다. 나무에는 목신이 있고, 길에는 길을 지키는 신이 있고, 북방에는 북방을 맡은 신이 있다는 등 모든 곳에 신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어떤 사물이라도 섣불리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신성시 여기는 것입니다. 지혜의 눈으로 보면 이 우주 안에는 우리의 육안으로 미치지 않는 엄청난 영감의 세계, 영혼의 세계, 마음의 세계가 얼마든지 펼쳐져 있습니다. 그런 세..

대승경전/천수경 해설

천수경 해설 - 제1장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팔만대장경 중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경전이 『천수경』이란 것은 앞에서 살펴보았습니다. 그런데 『천수경』의 첫마디가 이란 것은 우리에게 엄청난 교훈을 던져 주고 있습니다. 의 글자 그대로의 뜻을 풀이하면 '입으로 지은 업을 깨끗이 하는 참된 말'이란 뜻입니다.불교인들은 업에 대해서 누구나 한 번쯤 들어 보거나 생각해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불교에서는 자신이 지은 업은 여러 수십억 년이 지난다 해도 없어지지 않아서 인연을 만나는 어느 순간에 자기가 지은 업에 대한 과보는 반드시 받는다고 합니다. 그 때문에 불교인들은 업을 잘 지어야 합니다. 일생을 통해 부처님과 인연을 맺는 일은 참으로 훌륭한 업을 짓는 일입니다. 부처님은 이 세상에서 스승 중의 스승이시며, 가장 훌륭한 깨달음을 성..

글쓴이00
'대승경전/천수경 해설'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