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방내외 안위제신진언(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
〈오방〉은 동서남북 사방과 중앙을 합하여〈오방〉이라고 합니다. 불교에서는 〈오방〉이외에도 팔방(八方), 시방(十方)등으로 공간 개념을 많이 표현하고 있습니다.〈내외〉는 '안팎'이란 뜻이고 〈안위제신〉은 '모든 신들을 편안하게 위로한다'는 뜻입니다. 불교에서는 모든 생물과 나아가서 무생물까지도 신이 있다고 봅니다. 나무에는 목신이 있고, 길에는 길을 지키는 신이 있고, 북방에는 북방을 맡은 신이 있다는 등 모든 곳에 신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어떤 사물이라도 섣불리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신성시 여기는 것입니다. 지혜의 눈으로 보면 이 우주 안에는 우리의 육안으로 미치지 않는 엄청난 영감의 세계, 영혼의 세계, 마음의 세계가 얼마든지 펼쳐져 있습니다. 그런 세계에 존재하는 여러 신들에게 우리가 하는 일이 잘 되도록 신들을 다독거려 편안하게 하는 일이 바로 〈오방내외 안위제신진언〉의 숨은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 주변에서 알게 모르게 인연을 함께 하며 불법을 지키고 옹호하는 보이지 않는 온갖 신들을 안위시키기 위해서는 진언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릇에 〈다라니〉라는 좋은 음식을 담으려면 담기 전에 그릇을 비우고 깨끗이 청소하는 일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맨 앞에서 이야기한 〈정구업진언〉이며, 나아가서 오방에 계시는 신들을 안위시키는 일인 것입니다.즉 이것은 〈다라니〉를 담기 위한 준비 작업인데, 모든 나쁜 환경들을 바로 잡고, 있어야 할 자리에 바로 놓아 모양을 갖추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무슨 공사를 하거나 집회를 열려고 할 때 미리 근처에 있는 파출소나 동사무소에 가서 신고를 하여 그들의 도움을 받으면 일이 무사히 끝마쳐지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그렇게 하여야만 뒤탈이 없이 일을 원만히 성취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결국 『천수경』을 읽기 전에 신성한 의식의 하나로 오방에 두루 계시는 신들께 미리 잘 봐 달라고 도움을 청하는 행동이 바로 진언을 외우는 일인 것입니다. 온전한 자리에서 돌아뵈도 경을 읽을 준비가 완료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딱 들어맞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오방에 계시는 신들을 안위시키는 구체적인 진언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나무 사만다 못다남」
〈나무 사만다 못다남〉에서 〈나무〉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용어입니다. '나무 석가모니불', 나무 관세음보살'등 〈나무〉는 자주 접하는 것으로서, 그 뜻은 '귀의한다' '귀의하여 받든다'는 말입니다. 〈사만다〉는 널리, 두루란 의미를 지닌 '보변(普邊'이란 뜻이 있습니다. 〈못다남〉의 〈못다〉는 원래는 〈붓다〉인데 옮겨 쓰는 과정에서 잘못 표기된 것입니다. 곧 부처님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남〉은 '~들'이란 뜻의 복수를 나타내는 접미사입니다. 그래서 〈나무 사만다 못다남〉은 '널리 온 우주에 가득히 계시는 부처님들께 귀의하여 받든다'는 뜻이 됩니다.
우리가 부처님께 귀의하여 받들 수 있는 마음 자세가 되었을때 비로소 『천수경』을 외울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 말은 곧 오방내외의 모든 신들을 안위시키는 데는 부처님께 귀의함으로서만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법당에 앉아 법문을 듣고 기도를 한다고 해도 마음이 흔들리거나 딴 곳에 가 있으면 경을 읽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비록 시궁창에 가 있더라도 자기의 마음이 일심(一心)으로 되어 있다면 『천수경』을 자신의 몸 안에 간직할 수 있는 자세가 되는 것입니다. 그렇게 경(經)과 내가 한 마음이 될 때 오방의 신들은 안위되는 것입니다. 자기 자신이 부처님께 귀의해 버리면 비록 귀신의 소굴에 있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 것입니다. 자신의 마음이 이 우주에 충만한 부처님께 귀의하는 자세가 되면 몸이 어디에 있든 『천수경』을 받아들이는 그릇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계속해서 이어지는 진언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3번)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에서 맨 첫 머리에 나오는 <옴>이라는 진언은 그 뜻이 매우 깊고 중요합니다. 그래서 한두 마디로 해석하면 그 뜻을 잘 나타낼 수 없습니다. <옴>이라는 진언은 그것 하나만으로도 최상의 훌륭한 진언이 될 수있습니다. 흔히<옴>을 진언의 왕이요, 우주의 핵심이며, 소리의 근원이라고 말합니다. 또 <옴>은 피안에 이르는 범선(帆船)이며, 최상의 극찬탄구이며, 우주의 근원을 깨뜨리는 소리이며, 모든 법문의 어머니인 것입니다. <옴>은 읽을 때 짧게 읽지 않고 길게 장음으로 소리내야 합니다. <옴>이란 소리에는 지극히 신비한 힘이 깃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헤르만 헷세의 『싯달타』에서도 <옴>으로 명상을 하면서 성불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 밖에도 <옴>자는 어떤 대상을 섭복(攝伏)시킬 때에도 사용됩니다. 말하자면 <옴>자는 무서움증이 날 때 아랫배에 힘을 주고 <옴>자를 길게 서너번 외치고 나면 두려움이 싹 가시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옴>자는 섭복의 의미 이외에도 누구에게 무엇을 경고하는 뜻도 담겨 있습니다.이처럼 <옴>자는 진언의 정형구로서 맨 앞에 위치하며 전체진언의 의미에 따라 특수한 내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신장들을 안위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다음으로 <도로도로>는 별 뜻이 없는 형상을 나타내주는 의성어입니다. 여기서는 오방내외에 계시는 여러 신장님들의 어깨를 툭툭치면서 다독거리는 모습을 형상화한 형용사입니다.<지미>는 모든 신들을 안위시키는 종자, 즉 씨앗이란 뜻입니다.
식물의 종자 속에는 줄기, 열매, 뿌리, 색깔 등 온갖 것을 내포하고 있듯이 <지미>란 것 속에는 신들을 위로하는 모든 것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사바하>는 <정구업진언>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성취, 원만, 구경의 뜻이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모든 신들을 안위시키는 일이 원만히, 철저히, 편안하게 성취되도록 하는 종결어미입니다. 다시 말해서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에서 <사바하>의 뜻은 지금 모든 부처님게 귀의함으로써 모든 신들이 자연스럽게 안위되도록 바라고, 또 그런 상태가 성취되도록 하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이 우주의 주인은 마음입니다. 우리가 어디에 있든지 자기 자신의 마음 자세가 제일 중요한 것입니다. 차를 타고 있든지, 부엌에 있든지, 일을 하고 있든지 간에 온 우주에 가득한 부처님께 귀의하는 그런 마음 자세가 되었을 때 그로부터 모든 신들은 진정되어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이 성취된다는 것입니다.
개경게(開經偈)
<개경게>라는 말은 경을 펼치기 전에 경을 찬미하는 내용을 담은 게송(偈頌)이라는 뜻입니다. 불교에서는 흔히 다섯 자, 일곱 자로 된 정형구를 시(詩)라는 용어 대신에 게(偈)라는 표현을 씁니다.그러면 구체적인 게송을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무상심심미묘법(無上甚深微妙法)
백천만겁난조우(百千萬劫難遭遇)
아금문견득수지(我今聞見得受持)
원해여래진실의(願解如來眞實意)
첫 구절인 <무상심심미묘법>은 '부처님의 법은 너무나도 깊고 넓고 훌륭하고 미묘해서 그것보다 더 높은 것은 없다'는 뜻입니다. 부처님의 법은 가장 높고, 가장 깊고, 가장 미묘한 것입니다. 그래서 그 법은 쉽게 만날 수 없으므로 둘째 구절인<백천만겁난조우>가 됩니다. 즉'헤아릴 수도 없는 수억만 년의 오랜 세월 동안에도 부처님의 법은 만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흔히 '인신난득(人身難得) 불법난봉(佛法難逢)'이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사람 몸을 받아 사람으로 태어나기도 어렵지만 부처님의 법을 만나기는 더욱 어렵다는 뜻입니다. 불법을 만나기가 얼마나 어려운가를 비유하여 경전에서는 눈 먼 거북이가 잠깐 쉬려고 넓은 바다 위로 올라왔을 때 구멍난 나무토막을 만나는 것과 같다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처럼 불법의 인연은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닙니다. 불법이 아무리 가까이 있어도 인연이없으면 만나기 어려운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가까운 곳에 절이 있어도 인연이 없으면 불법을 만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먼곳에 있더라도 불법과 인연 있는 사람은 불원천리하고 달려가는 것입니다.
셋째 구절인 <아금문견득수지>는 '그러한 만나기 어려운 인연을 지금 내가 듣고, 보고, 얻어 지녔다'는 것입니다.<문견득수지>는 불법을 듣고, 경전을 보고, 그래서 그것을 받아 진 확실히 내 것으로 만든다는 교육의 다섯 단계로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마지막 구절인 <원해여래진실의>는 '원컨데 여래의 뜻을 잘 알게 해 달라'는 뜻으로 폴이할 수 있습니다. 부처님의 참 뜻을 아는 것, 그것은 참으로 중요한 일입니다. 우리가 불법을 가까이 한다고 해도 자기의 입장에서 적당하게 합리화시켜 아전인수(我田引水) 격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흔히 있습니다. 절이란 이런저런 것이 충족되어지는 곳이고, 불교란 대체로 이런 것일 거라고 적당히 자기나름대로의 생각하는 수가 많습니다. 그런 혼자만의 생각은 그릇된 것일 수가 많으므로 부처님의 진정한 가르침을 새겨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부처님은 동쪽을 가리키는데 우리는 서쪽을 가는 게 아닌가하고 한번쯤 생각해봐야 합니다. 인간의 욕망이나 개인의 필요에 의해 절에 와서 실컷 자기에게 필요한 것만을 느끼고 보고 배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원해여래진실의>는 자기가 편리한대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여래의 입장에서 여래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개인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불법을 배우러 왔다면 그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법회에 참석하든지, 불공을 드리던지, 경전 공부를 하든지 간에 여래의 진실한 뜻을 알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경을 읽을 때나 기도를 할 때, 부처님의 참다운 뜻이 무엇인가를 새겨서 아는 일은 참으로 중요한 것입니다.이상의 네 구절이 경을 펼치기 전에 가져야할 마음 자세인데 법회 때 뜻을 새기면서 낭낭히 읽으면 참으로 가슴이 가슴이 서늘해지고 경건한 마음이 되는 것입니다.
개법장진언((開法藏眞言)
〈개법당진언〉에서〈법장〉은 법의 창고, 즉 법을 담고 있는 주체를 가리킵니다. 〈법장〉은 법을 갈무리하고 잇는 창고이니 결국 경전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래서 〈개법당진언〉은 일차적으로 경전을 펼치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그러나 본래의 의미는 사물 하나하나가 진리의 나타남이기 때문에 그 사물 사건에 부딪히는 작용이 바로 법장을 여는 일입니다. 우리가 기도를 시작하는 일도 법장을 여는 일이며, 참선에 들어가는 것도 법장을 여는 일입니다. 옛 조사 스님께서 남기신 글 가운데 '아유일권경(我有一券經) 불인지묵성(不因紙默成) 전개무일자(展開無一字) 상방대광명(常放大光明)'이란 구절이 있습니다.
그 뜻은 '나에게 한 권의 경이 있으니 종이나 먹으로 된 것이 아니네. 펼쳐 보아도글자 한 자 없지만 늘 큰 광명이 비추고 있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경전을 대할 때도 이와같이 큰 광명을 비추는 마음으로 펼쳐야 합니다. 부처님의 법이 담긴 경전을 펼치는데 있어서 그냥 아무렇게나 할 수 없습니다. 매우 무게있는 말 한 마디로 시작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다음에 이어지는 진언입니다.
「옴 아라나 아라다」(3번)
〈옴 아라남 아라다〉에서 〈옴〉자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진언의 첫 머리에 나오는 정형구로서, 여기서는 뒤에 이어지는 〈아라남 아라다〉를 종결 지어주는 의미가 있습니다. 〈아라남〉은 '무쟁삼매(無諍三昧)'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무쟁삼매란 마음이 편안하여 아무 갈등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경전을 펼치거나 법회를 할 때 마음에 온갖 번뇌와 잡념이 가득하면 그것은 유쟁삼매(有諍三昧)입니다. 다시 말해서 번뇌가 없는 마음,갈등이 없는 하나로 통일된 마음이 무쟁삼매입니다.그렇게 되어야 비로소 경전을 펼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옴 아라남 아라다〉의 뜻을 새겨 보면, '번뇌가 없는 편안한 마음으로 법열 속에서 만족한다'는 말이 됩니다.
우리가 무엇을 하든지 간에 전신을 던져서 철저히 행할 때 그 결과에 대해서는 만족할 수 있습니다. 하고자 하는 것과 자기 자신이 만족한다는 것은 결국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이 세상에서 성공할 수 있는 비결은 무어을 하든지 그 일에 자신의 전부를 던지는 것입니다. 몸과 마음을 바쳐 열중하는 사람은 결코 패배하지 않습니다. 무슨 일을 하든지 전신을 투여하여 〈옴 아라남 아라다〉를 했을때 그 속에 행복이 있고 즐거움이 있는 것입니다.
무쟁삼매에서 만족하며 철저히, 추호의 빈틈도 없이 몰두하며 살아가는 사람은 인생을 성공적으로 보람있게 마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경전을 펼치기 전에 아무런 갈등없이, 다른 잡념이 사라진 연 후에야 비로소 경전에 담긴 법을 철저하게 공부할 수 있는 자세가 되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경전을 펼쳤을 때 경전과 자기 자신이 하나가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그때 비로소 우리는 만족을 얻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정구업진언〉에서부터 〈옴 아라남 아라다〉까지는 어떤 경전을 읽든지 공통적으로 서문에 해당합니다.
'대승경전 > 천수경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수경 해설 - 제6장 마음도 없어지고 죄 또한 없어져서 (0) | 2023.05.09 |
---|---|
천수경 해설 - 제5장 위신 나투시는 성스러운 분이시여 (0) | 2023.05.08 |
천수경 해설 - 제4장 지혜의 배를 타고 행복의 나라로 (0) | 2023.05.08 |
천수경 해설 - 제3장 광대원만 무애대비심 대다라니(廣大圓萬 無碍大悲心 大陀羅尼) (0) | 2023.05.07 |
천수경 해설 - 제1장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0) | 2023.05.07 |